배움/MKYU

[MKYU/디지털튜터 2강] 디지털이 바꿔놓은 우리의 일상(1)

Stage2 2021. 7. 29. 02:01
반응형

강사 : 조성준 /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 정철 / 씨제이 어소시에이츠 대표 / 전 삼보컴퓨터 부회장

 

1. 4차산업혁명이란?

 

4차산업혁명의 용어 사용은 독일정부에서 처음 사용하였고,이것을 기업 입장에서 미국 맥킨지에서사용한것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다. 

그 이유는 정부와 기업의 각각의 입장차이 때문이다.

정부의 입장은 사회적 형평을 고려하여 "혁명"이란 과격하고 약간 부정적인(?) 단어를 선택함으로써 변화의 속도를 천천히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 반면, 

기업의 입장은 혁신 및 혁명을 위해선 누군가 희생할 수 밖에 없지만 다가올 미래에 거부감을 줄이며 긍정적인 느낌을 주기위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란 용어를 사용하였다.

 

 

2. 디지털이란 ?

단순하게 정의하면 지능을 갖춘 기계라 할수 있다.

과거에는 동력만을 사용하는것이 기계의 역할이었다면 현재는 기계가 직접 판단하고 지능을 가지며 Machine to Machine이 일을 하는 사회이다.

기계와 소통할 줄 아는것이 디지털의 이해이다.

 

CPS= Cyber Physical Space

Platform : IT 공간에서 소비자와 판매자를 연결하여 두 당사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공간

사이버프랫폼의 장점 : 물리적플랫폼과 달리 인원 및 가입자를 무한대로 확장 가능함 --> 규모의 경제 (쿠팡, 아마존 등)

 

특히 규모의 경제는 말그대로 극대화가 가능해진 사이버공간이 되어 버렸다.

3. 플랫폼의 규모가 한 국가의 수준을 넘어선다면?

플랫폼의 규모가 한국가의 수준을 넘어선다는것은 플랫폼 가입자의 인원이 한 국가의 인구보다 많아 진다는 말이다.

그럴경우 많은 개인데이터가 생산될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기업은 막강한 권력을 가질수 있는것이다.

특히 페이스북의 가입자는 약 10억명에 이르고 있어 이와같은 규모의 국가는 중국과 인도외에는 지구상에 찾아보기 힘들다.

이로 인해 약 2년전 유럽연합(EU)에서는 데이터 보호를 위한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을 발의하여 플랫폼을 사용하는 개인의 데이터를 기업들이 함부로 가져가지 못하도록 국가권력이 직접 개입을 하기 시작하였다.

 

 

4. 정부가 기업데이터에 관심을 갖는 이유?

기업의 목적은 이윤추구가 목적이고 이를 위해 효율을 추구한다. 

여기서 디지털 전환이 시작되고 세상이 바뀌게 되면 여기에 적응하지 못한 사람에 대해서는 책임지려 하지 않는다.

반면 정부는 항상 보편성과 형평성을 생각할수 밖에 없기때문에 디지털 전환후 적응하지 못한 사람에 대해서도 책임을 져야하는 상황이다.

 

그래서 국가권력이 기업권력을 적절하게 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AI 및 데이터관련 법령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은 노동시장의 일시적 붕괴를 야기 할 수 있기때문에 이에 대한 기업의 어느정도의 책임을 국가가 지우고 있는 것이다. 기업은 그 반대의 입장에서 누군간의 희생은 당연한것이고 그 희생에 대해서는 책임을 질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를 해결해야할 당사자는 국가도 기업도 아닌 예전엔 "시민"이었고 현재엔 어디에도 속박되니 않은 "자유인"이다. 

결국 각 개개인이 국가나 기업 어느쪽에도 무엇을 어떻게 해달라고 요구할수 없고 이 변화에 잘 적응해 나가는 것이 디지털시대에 잘 살기위해 주체적으로 고민해 볼 문제이다.

예를 들어 AI에게 일자리를 빼앗길 것인가를 고민하지 말고 AI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촛점을 맞추는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디지털 튜터가 그 대안이 될수 있다.

 

* 유튜브나 SNS로 인해 개인의 성향에 따라 유사한 성향의 채널만을 보고 듣게되어 진영논리나 선동적으로 빠질수 있는 우려가 있다. 

 

반응형